728x90
반응형
증상


- SELinux 무효화 설정 후 kernel panic





원인




- 7번째 라인의 SELINUX를 disabled 변경하려다가 잘못하여 11번째 라인의 SELINUXTYPE에 disabled 를 설정한 후 재기동 하게 되면
재기동이 되지 않고 커널 패닉 에러발생



해결


  1. 재기동시 OS부팅시 가운트다운 화면에서 아무 키를 누릅니다.
  2. GRUB 메뉴에서 기동 OS를 위, 아래 방향키로 선택하여 키보드의e 키를 누릅니다.
  3. 위, 아래 방향키로 조정하여kernel 행을 선택하여 키보드의 e키를 누릅니다.
  4. 편집 모드가 표시되면 마지막 부분에 한칸 띄우고 enforcing=0 라고 입력하여 추가합니다.
    enforcing앞에 공백을 넣어야 합니다. = 가 입력이 안될 경우 ^키를 누르면 =가 입력됩니다.
  5. 편집후 엔터키를 누르면 설정이 저장 되고 이전의 kernel을 선택했던 화면으로 되돌아 가게됩니다.
  6. b키를 눌러 OS를 부팅합니다.
  7. 부팅후 /etc/selinux/config파일을 이번에는 제대로 확인하여 7번째 라인 SELINUX을 desabled로 설정 하고 재부팅합니다.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GRUB 재설치 시 오류 발생  (0) 2018.08.08
Linux systemd 손상  (0) 2018.08.08
Linux LVM Striped  (0) 2018.08.08
Linux 백업 슈퍼블록을 이용한 파일 시스템 복구  (0) 2018.08.08
Linux nfs mount error  (0) 2018.08.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