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백업 슈퍼블록을 이용한 파일 시스템 복구
 

위와 같은 많은 방법을 동원하여 복구 하려 해도 안될때 우리는 백업 수퍼 블록을 이용하여야 한다.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의 구조와 수퍼 블록의 정확한 개념, 그리고 백업 슈퍼 블록의 위치를 알아야 한다)
 

리눅스 파일시스템의 경우 대게 슈퍼블록을 이용하여 읽고 쓰기를 하는데 슈퍼블록이 깨지면 파일시스템은 깨진다.
(그래서 이 슈퍼블록의 위치 바로 뒤에 슈퍼블록의 백업 블록이 있는데 이 부분을 이용한 복구 방법을 사용)
 

먼저 슈퍼 블록과 그의 분신들의 위치를 알아본다
 

 
위와 같이 확인 할수 있다. 대부분 메인 블록이 오류가 발생하면 저 백업 블록에 의해 작업하면 된다.
(만약 백업 블록을 포함한 모든 슈퍼블록이 깨진다면 복구가 불가능하나 한개의 백업블록이라도 살아있으면 복구가능)
 

실사용 예
 

#e2fsck -b 57345 -f -j ext3 -y /dev/sda1
(sda1 파티션의 파일시스템을 4번째 슈퍼블록 복사본을 이용하여 강제로 복구 하는데 질의한 모든 질문에 모두 yes로 대답하겠다)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SELinux 무효화 설정 후 kernel panic  (0) 2018.08.08
Linux LVM Striped  (0) 2018.08.08
Linux nfs mount error  (0) 2018.08.08
Linux fsck  (0) 2018.08.08
Linux badblocks  (0) 2018.08.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