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e2fsck


◆ 리눅스는 부팅단계에서 /etc/rc.d/rc.sysinit 스크립트에 내용에 따라  fsck 가 /etc/fstab파일을 참조하여 각 마운트된 (디스크)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점검


점검도중 파일시스템이에 오류가 발생한 파티션이 있다면 부팅이 안됨. 그럴때 fsck를 이용하여야 한다

 

 
부팅 도중에 위와 같은 오류 메시지와 함께 부팅이 멈춰 버림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저 빨간색 [FAILED] 위의 메시지

/dev/sdb1 : UNEXPECTED UNCONSISTENCY : RUN fsck MANUALLY.   <- 바로 이 부분

- /dev/sdb1 파티션을 메뉴얼에 따라 fsck를 이용하여 체크 하는 도중에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


◆ 해결방법

1. 먼저 root의 비밀번호를 입력
그러면
(Repair filesystem) :
위와 같은 프롬프트가 뜨는데 파일 시스템을 복구하란 뜻. 오류가 난 부분을 진단해서 고쳐줘야 한다
 
2. (Repair filesystem):e2fsck /dev/sdb1
위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처리. 이런 저런 메시지가 출력되는데 이 후 리부팅을 해주면 부팅이 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fsck 옵션
 
- 먼저 fsck를 이용하여 파일시스템을 점검 할때에는 파티션을 언마운트 시킨후에 해야 한다. 안그러면 점검하다가 파일시스템에 되려 손상이 가는 경우가 있을수 있다.
 

 
위와 같은 명령어로 장치들의 마운트 정보를 확인

-f : 이는 파일시스 템이 이상이 없더라도 강제적으로 파일 시스템을 점검 할때 사용
ex) #e2fsck -f /dev/sdb1   
 
-j : 이는 저널링 파일 시스템을 대상으로 작업할때 사용하는 옵션. 저널링 파일 시스템(보통 ext3)를 대상으로 작업할때 옵션이 아니라 필수로 해줘야 하는 옵션이다.
ex)#e2fsck -j ext3 /dev/sda1
 
-v : 점검내역 상세 보기
ex)#e2fsck -j ext3 -fv /dev/sda2
(ext3의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된 sda1파티션을 강제로 점검하면서 상세내역도 보는명령)
 
-p : 오류 있는 파일 시스템의 자동 복구 (아주 유용한 옵션) 
ex)#e2fsck -b 98304 -p /dev/sda1
 
-y : 수행 과정의 질문에 모두 yes라 응답하는 옵션
ex)#e2fsck -b 98304 -y /dev/sdb1
 
-n :수행 과정의 질몬에 모두 no 로 응답하는 옵션
ex)#e2fsck -b 98304 -n /dev/sdb1
 
-c : 점검 과정에서 찾게된 베드블록을 마킹하여 사용치 못하게 하는 옵션
ex)e2fsck -j ext3 -cv /dev/sda2             
(/dev/sda2 파일 시스템내의 배드블록이 있다면 배드블록 아이노드에 마킹하는 작업)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LVM 명령어 리스트  (0) 2018.08.08
Linux Disk(LUN) 인식  (0) 2018.08.08
Linux partprobe  (0) 2018.08.08
Linux partx  (0) 2018.08.08
Linux dumpe2fs  (0) 2018.08.08
728x90
반응형
Partprobe


- fdisk를 통한 볼륨 파티션 재 구성 시 OS 커널이 인식하는 파티션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때 /dev 디렉토리 밑에 디바이스 파일이 생성되지 않는다.

- OS가 설치된 디스크에 파티션을 새로 설정할 경우 사용중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파티션이 인식이 안되서 시스템을 생성할 수 없다. 

- Reboot을 통해 파티션을 재인식할 수 있지만 Reboot이 힘든 경우 partprobe를 통해 파티션 인식 가능

- 해당 디바이스가 umount 도니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옵션

-D : kernel을 업데이트 하지 않는다.
-s : 장치 및 해당 파티션의 요약을 표시
-V : 프로그램 버전 출력


사용법

# partprobe /dev/sdb

# partprobe -s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Disk(LUN) 인식  (0) 2018.08.08
Linux e2fsck  (0) 2018.08.08
Linux partx  (0) 2018.08.08
Linux dumpe2fs  (0) 2018.08.08
Linux gdisk  (0) 2018.08.08
728x90
반응형
Partx


- 커널에 파티션을 인식시키거나 설정하는 명령어


옵션

-a : 지정된 파티션을 추가하거나 디스크를 읽어 모든파티션을 추가
-b :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식이 아닌 SIZE를 byte 단위로 출력
-d : 지정된 파티션 또는 모든 파티션을 삭제
-u : 지정된 파티션을 업데이트
-g : 헤더 행을 출력하지 않음
-l : 파티션을 리스트를 출력 (모든 숫자는 512byte)
-o : 출력 리스트 (--show, --raw 출력에 사용할 출력 열을 지정)
-P : key="value" 형식을 사용하여 출력
-n : 파티션 범위를 지정
(--nr M:N 형식 지원, --nr : -1은 마지막 파티션을 의미, --nr-2:-1은 마지막 두 파티션을 의미)
-r : 원시 출력 형식 사용
-s : 파티션을 나열
-t : 파티션 유형 설정 (aix, bad, dos, gpt 등등)
-v : 자세한 정보 표시


사용법

# partx -a /dev/sdb

# partx -d /dev/sdc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e2fsck  (0) 2018.08.08
Linux partprobe  (0) 2018.08.08
Linux dumpe2fs  (0) 2018.08.08
Linux gdisk  (0) 2018.08.08
Linux ioping  (0) 2018.08.08
728x90
반응형
dumpe2fs

- dumpe2fs는 ext2, ext3 파일시스템의 슈퍼블록, 블록 그룹 정보에 대하여 출력해주는 명령어

# dumpe2fs /dev/sda3 | more

위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며 다음과 같은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옵션

-b : 파일시스템에 bad system으로 set 되어 있는 블록을 출력한다.

-ob superblock : 파일시스템을 검사할 때 블록 단위로 슈퍼블록을 검사한다.

-oB blocksize : 파일시스템을 사용할 때 블록 단위로 블록 사이즈를 사용하여 검사한다.

-f : dumpe2fs가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flag가 있더라도 강제적으로 파일시스템을 출력한다.

-h : 슈퍼블록 정보만 출력한다.

-i : e2image로 생성된 이미지파일로부터 파일시스템 정보를 출력한다.

-x : 16진수 형태로 자세한 정보를 보여준다.

-V : 버전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 내용은 아래와 같은 형태

Filesystem volume name:   <none>
 Last mounted on:          <not available>
 Filesystem UUID:          ec6043bd-ab6a-4be5-a585-3559d20faa95
 Filesystem magic number:  0xEF53
 Filesystem revision #:    1 (dynamic)
 Filesystem features:      resize_inode dir_index filetype sparse_super large_file
 Default mount options:    (none)
 Filesystem state:         clean
 Errors behavior:          Continue
 Filesystem OS type:       Linux
 Inode count:              125696
 Block count:              251015
 Reserved block count:     12550
 Free blocks:              246750
 Free inodes:              125685
 First block:              0
 Block size:               4096
 Fragment size:            4096
 Reserved GDT blocks:      61
 Blocks per group:         32768
 Fragments per group:      32768
 Inodes per group:         15712
 Inode blocks per group:   491
 Filesystem created:       Wed Aug  4 01:45:05 2010
 Last mount time:          n/a
 Last write time:          Wed Aug  4 01:45:05 2010
 Mount count:              0
 Maximum mount count:      33
 Last checked:             Wed Aug  4 01:45:05 2010
 Check interval:           15552000 (6 months)
 Next check after:         Mon Jan 31 01:45:05 2011
 Reserved blocks uid:      0 (user root)
 Reserved blocks gid:      0 (group root)
 First inode:              11
 Inode size:       128
 Default directory hash:   tea
 Directory Hash Seed:      d4d8536a-56e7-4b19-bf27-a3132770fe02


 Group 0: (Blocks 0-32767)
   Primary superblock at 0, Group descriptors at 1-1
   Reserved GDT blocks at 2-62
   Block bitmap at 63 (+63), Inode bitmap at 64 (+64)
   Inode table at 65-555 (+65)
   32206 free blocks, 15701 free inodes, 2 directories
   Free blocks: 562-32767
   Free inodes: 12-15712
 Group 1: (Blocks 32768-65535)
   Backup superblock at 32768, Group descriptors at 32769-32769
   Reserved GDT blocks at 32770-32830
   Block bitmap at 32831 (+63), Inode bitmap at 32832 (+64)
   Inode table at 32833-33323 (+65)
   32212 free blocks, 15712 free inodes, 0 directories
   Free blocks: 33324-65535

   Free inodes: 15713-31424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partprobe  (0) 2018.08.08
Linux partx  (0) 2018.08.08
Linux gdisk  (0) 2018.08.08
Linux ioping  (0) 2018.08.08
Linux LVM snapshot LV로 백업 및 복구  (0) 2018.08.08
728x90
반응형
gdisk


- fdisk와 같은 유틸리티로 fdisk가 2TB 미만의 Disk 파티션닝을 한다면
2TB이상 대용량에서 gdisk 또는 parted로 구성한다.


1) gdisk 실행

# gdisk /dev/sdb



p : 명령을 실행해서 디바이스의 파티션 테이블을 표시
o : 명령을 실행해서 새로운 빈 파티션 테이블을 생성
n : 명령을 사용해서 디바이스의 각 파티션에 대한 새 파티션 항목을 생성
c : 명령을 사용해서 각 파티션의 이름을 이전 파티션의 이름으로 변경. 파티션에 이름이 없는 경우는 Enter
x : 명령을 사용해서 전문가 명령 메뉴
g : 명령을 사용해서 디스크 식별자를 원래 값으로 변경
w : 명령을 사용해서 변경사항을 디바이스에 저장하고 유틸리티를 종료


2) 파티션 생성

n -> 파티션 생성
1 -> 파티션 번호 지정
Enter -> 시작하는 용량 설정
Enter -> 최대용량 설정
8e -> 파티션 타입 설정
p -> 파티션 출력
w -> 저장
y -> 구성 확인



- 파티션 타입




3) 포맷

# mkfs.xfs /dev/sdb1




4) fstab 등록 및 Mount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partx  (0) 2018.08.08
Linux dumpe2fs  (0) 2018.08.08
Linux ioping  (0) 2018.08.08
Linux LVM snapshot LV로 백업 및 복구  (0) 2018.08.08
Linux Parted를 통한 Standard Partition 확장  (0) 2018.08.08
728x90
반응형
  • Disk에 Latency를 확인해 볼 수 있는 명령어


사용법

# ioping [-LCDRq] [-c count] [-w deadline] [-p period] [-i interval] [-s size] [-S wsize] [-o offset] 장치 | 파일 | 디렉토리
# ioping /dev/sda3


옵션

-c : count 요청 후 중지
-w : deadline  다음에 중지
-i : interval 요청간 간격(1s)
-s : size 요청크기 (4k)
-S : wsize 작업 세트 크기 (1m)
-o : offset 파일 오프셋
-L : 순차 작업 사용 (-s 256k 포함)
-C : 캐시된 I/O
-R : 탐색 속도 테스트 (-q -i 0 -w 3 -S 64m 과 동일)

-q :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출력을 표시하지 않음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dumpe2fs  (0) 2018.08.08
Linux gdisk  (0) 2018.08.08
Linux LVM snapshot LV로 백업 및 복구  (0) 2018.08.08
Linux Parted를 통한 Standard Partition 확장  (0) 2018.08.08
Linux Parted 구성  (0) 2018.08.08
728x90
반응형
snapshot LV를 만들어서 안전한 백업하기 


- 데이터의 변동이 많은 /var등의 디렉토리는 백업 도중에 데이터가 엉키는 수가 있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snapshot LV를 만들어 데이터를 고정 시킨 후 백업을 하면 된다.


1) 백업할 LV 확인

# df -h




2) snapshot LV 생성

# lvcreate -s -L 1g -n backup /dev/vg01/data

- 위의 명령은 /dev/vg01/data에 대한 snapshot LV인 /dev/vg01/backup를 만든다.
옵션 ‘-s’는 만들어질 LV가 snapshot 형식임을 정해주고 있다.
옵션 ‘-L’ 는 LV 의 최대 크기를 정해준다. 대게 원본 LV와 크기를 같게 하는 것이 좋다.
snapshot LV는 원본이 갱신 되는 부분만 고정 시키려고 데이터를 가져와 LE에 할당하기 때문에 많은 LE가 필요하지 않다.



# lvs



- Attr(속성) 값에 O로 되어 있는건 원본 데이터라는 의미이고 S로 되어있는건 Snapshot 이라는 의미이다


3) 데이터 삭제

# df -h




4) 복구할 LV 비활성화 및 활성화

# umount /data

- 복구할 LV가 사용중 일시 강제로 user를 끈게할 수 있다면 fuser를 사용한다.

# fuser -ks /data



이후 lv를 재활성화 한다

# lvchange -a n /dev/vg01/data
# lvchange -a y /dev/vg01/data




5) LV 복구

# lvconvert --merge /dev/vg01/backup



이후 에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롤백되었는데 확인한다.

# mount /dev/vg01/data /data
# df -h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gdisk  (0) 2018.08.08
Linux ioping  (0) 2018.08.08
Linux Parted를 통한 Standard Partition 확장  (0) 2018.08.08
Linux Parted 구성  (0) 2018.08.08
Linux LVM striped mapping LV로 묶기  (0) 2018.08.08
728x90
반응형
Parted를 통한 파티션 확장


1) 확장할 파티션 확인

# parted -> print
또는
# parted /dev/sda/ print




2) 파티션 확장

# parted /dev/sda -> resize -> Selet Number -> 추가할 용량 (200GB)



- ext4의 기본 파티션을 확장할 경우 Error Log가 발생한다.
Error: File system has an incompatible feature enabled. 
Compatible features are has_journal, dir_index, filetype, sparse_super and large_file. 
Use tune2fs or debugfs to remove features.
(오류 : 파일 시스템에 호환되지 않는 기능이 설정되었습니다.
호환 가능한 기능은 has_journal, dir_index, filetype, sparse_super 및 large_file입니다.
기능을 제거하려면 tune2fs 또는 debugfs를 사용하십시오.)

- Error가 발생되는 이유는 호환되지 않는 파일시스템 속성이 있기때문이다.
Standard Partition의 경우 확장을 할 수 없는 파티션이다. ext4처럼 파일시스템으로 포맷되기전
파티션 분할시에 생성시 부여되는 속성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LVM, Standard, Extend 등
파티션이 생성될때 부여되는 속성이 모두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확장을 시도할 때 Error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이다.

- 그럼에도 확장을 하려면 허용되는 속성들을 제외하고 남은 속성들을 제거한 후 확장을 진행해야 한다.
위의 상태는 as_journal, dir_index, filetype, sparse_super, large_file 속성을 제외한 다른 속성은
허용되지 않는 상태이다.


3) 파일시스템 속성 제거

- tune2fs or debugfs를 통한 속성제거

# debugfs -w /dev/sda1 -R "features ^ext_attr ^resize_inode ^extent ^flex_bg ^huge_file ^uninit_bg ^dir_nlink ^extra_isize"



- 다시 확장 시도



- 남은 속성 추가 제거

# debugfs -w /dev/sda1 -R "features ^dir_index"




4) 용량 확장

# parted /dev/sda -> resize -> Select Number -> 용량 (250GB) -> OK




5) 위험도

- 파일시스템에 호환되지 않는 속성을 제거하지 않고 아래 단계에서 Ignore 선택 후 확장할 수 있다.



하지만 위의 방법대로 확장할 수 파일시스템이 깨질수 있는 위험도가 크다.

물론 속성들을 제거한 후 확장을 하여도 파일시스템이 깨질 수 있는 위험도가 크기때문에
해당 방법들은 무조건 해야하는 상황이 아니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파티션의 크기 변경은 parted 대신 GUI가 지원되는 gparted를 사용하고,
GUI 환경이 아닌 부득이한 경우에, parted를 이용하도록 한다.

- 파티션의 크기 변경은 EXPERIMENTAL하므로, 중요한 경우, 사전에 백업이 필요할 수 있다.

- tune2fs 보다는 debugfs가 좀더 실행에 문제가 없었다.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ioping  (0) 2018.08.08
Linux LVM snapshot LV로 백업 및 복구  (0) 2018.08.08
Linux Parted 구성  (0) 2018.08.08
Linux LVM striped mapping LV로 묶기  (0) 2018.08.08
Linux LVM 설정의 백업과 복구  (0) 2018.08.08
728x90
반응형
Parted 란?


-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은 32bit PC-BIOS 파티션 테이블을 사용
(32bit 파티션 테이블을 사용하므로 파티션 하나의 최대크기는 2TB로 제한되며 드라이브당 Primary 파티션은 4개만 가질 수 있다) 

- 확장 파티션 Extend Partition은 primary partition의 갯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나온 방법이지만 해당 방법을 해결하기 위해 GPT (GUID) 파티션 테이블이 개발 

- 기본적으로 linux partition은 msdos label을 갖고 사용한다. 이것은 2TB 이상을 넘겨서 사용할수가 없다. 64bit OS라도 사용불가
물론 이것은 linux (i386, x86_64에서 말하는것) 즉, fdisk는 2TB 이상의 cylinder를 컨트롤 할수가 없다는 뜻이다.

- parted는 설정과 동시에 디스크에 기록된다. fdisk에서 w를 눌렀을 때 저장되는 것과 다르다.
(fdisk의 경우 실행시에 Memory 상에서 올라가 실행되기 때문에 저장이 되더라도 disk에 기록되는것이 아닌 Memory에 기록이 된다. 하지만 parted는 바로 disk에 기록)

- parted는 블럭 단위가 아닌, MB단위로 입력한다.

- Tip
기존 디스크 파티션 작업을 위한 표준 명령어로는 fdisk가 있다. 그러나 fdisk는 현재 새로운 GPT 파티션을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빈도가 줄어들 것,
대신 적극적으로 지원받고 있는 새로운 명령어인 parted가 부각되고 있다. GPT 처리는 gdisk 로도 가능 (참고로 gparted는 gui모드에서 사용)





parted 사용법


설치

# yum install parted


사용법

# parted [옵션] 장치 [명령어 [옵션]]

# partprobe
- 커널이 파티션 정보를 다시 읽도록 한다


명령어

# check 파티션번호 : 단순하게 파티션을 점검

# cp [소스장치] 소스파티션 대상파티션 : 소스장치의 소스파티션의 데이터를  대상파티션에 복사

# move 파티션번호 START END : 파티션번호를 변경

# help [명령어] : 명령어들의 도움말을 얻을 수 있다.

# mkfs 파티션번호 파티션타입 :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만든다
          파티션타입 : ext2, fat 지원

# mklabel 레벨타입 : 디스크 라벨을 설정
              레벨타입 : bsd, gpt, loop, mac, mips, msdos, pc98, sun 지원
             (일반적으로  msdos이며, 2TB이상 사용하기 위해서 gpt를 사용)
   
# mkpart 파티션타입  [파일시스템 타입] 시작 끝  : 파티션을 나눈다.
             파티션타입 : primary, logical, extedned
             파일시스템 타입 : ext2, fat등을 넣는데 안 넣어도 상관없다.
             시작 : 시작 MB
             끝 : 끝 MB

# mkpartfs 파티션타입  [파일시스템 타입] 시작 끝  : 파티션을 나누고 파일시스템 생성
               파티션타입 : primary, logical, extedned
               파일시스템 타입 : ext2, fat, fat32 지원
               시작 : 시작 MB
               끝 : 끝 MB

# move 파티션번호 시작  끝 : 파티션의 시작과 끝을 이동시킨다. 파티션 번호는 변경되지 않는다.
                                     ( ext2, fat, fat32지원, 확장 및 이전시 데이터는 살아 있다.)

# name 파티션번호  이름 : 파티션에 이름을 설정한다.
                                        ( 이 옵션은 Mac, PC98에서만 사용된다.)

# print  : 파티션번호  테이블을 보여준다. (p만 눌러도 된다.)

# quit   : parted 모드에서 빠져 나온다.

# resize 파티션번호 시작 끝  : 파티션 용량을 늘리고, 줄인다.
                                            (ext2, fat, fat32에서만 가능)

# rm 파티션번호  : 파티션 삭제

# select 장치명 : 장치명 선택 (장치 변경시 사용)

# set 파티션번호  플레그  상태 : 파티션의 플레그의 상태를 변경한다.
                           플레그 : boot, root, swap, hidden, raid, lvm, lba, palo
                           상태 : on 또는 off


옵션

-l : 모든 블록 장치에 파티션 레이아웃을 보여준다.

-m : 내용을 각 정보마다 출력시켜주어 분석할 수 있음

- s : 프롬프트를 출력시키지 않고 실행

※ user interactive란 대화형 명령어인데,  아래의 예제처럼 사용자가 명령을 내릴 때 추가입력이 필요할 경우 설명이 나타나고
    사용자는 거기에 대한 명령어를 다시 내리는 형태의 대화형 명령어를 user interactive라고 한다.

※ non interactive 과정은, 여러 인자를 통하여 한번에 명령을 내려서 추가 입력하는 과정이 없다.

- a : 새 파티션을 정렬





GPT Partition 사용가능 여부 체크


# cat /boot/config-2.6.32-431.el6.x86_64 | grep EFI

CONFIG_EFI=y
CONFIG_FB_EFI=y
CONFIG_EFI_VARS=y
CONFIG_EFI_PARTITION=y

위 내용들이 모두 "y" 값을 가지고 있어야 시스템에서 GPT 파티션을 지원하는 것





GPT Partition 생성


파티션 확인

# fdisk -l




파티션 생성

1) parted 명령 실행
# parted /dev/sdb



2) 파티션에 라벨 생성
# mklabel gpt


파티션 테이블이 unknown -> gpt로 변경

3) 파티션 설정
# mkpart primary 2048s 2000GB
# mkpart primary 2000GB 100%



※ 첫번째 파티션 영역이 2048s부터 시작하는 이유
현재의 Disk는 LBA(논리 블록 어드레스) 방식으로 접근한다. 이 방식은 Disk의 전체 섹터에 0부터 섹터번호를 붙여 그 번호를 이용하여 섹터에 접근하는 방식이다.
섹터 번호와 물리적 섹터 위치를 짝 짓는 일은 Disk Controller에 내장된 펌웨어가 담당한다. 실제 파티션은 섹터 번호로 구분된 범위인데
1번 파티션은 2048섹터부터 시작한다. 이유는 0번 섹터에는 MBR이 위치하고 1~2047 섹터까지는 Grub의 스테이지가 기록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실제적으로 첫번째 파티션의 용량을 parted로 설정할때 시작 위치는 2048s로 시작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띄운다.



Warning: The resulting partition is not properly aligned for best performance. 이런 경고 메시지를 띄우는데
해당 메시지는 파티션이 최상의 성능을 위해 정렬되지 않았다고 하는 내용이다.


※ Tip
  1. 기본 용량은 MB로 설정되기때문에 GB단위로 설정하려면 GB를 붙여줘야 한다
  2. 하나의 파티션에 모든 용량을 사용하려면 # mkpart primary 0 100% 로 해도 된다
  3. 만약 첫 파티션에을 0 100GB까지 지정하였다면 두번째 파티션은 100GB 시작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첫 파티션 공간에 덮어쓰게되므로 오류

예전의 Disk의 경우 512바이트의 섹터를 가졌지만 현재는 4096바이트의 섹터를 가지고 있다.
실습에 표시된 시작 파티션용량 1049KB는 현재 4096바이트 크기의 섹터를 가진 Disk에서 0~2047섹터까지 크기를 KB로 표시한 것이다.
섹터의 크기가 달라지면 시작파티션 KB의 크기 또한 변경된다.

섹터의 크기를 알아보려면 parted의 표시단위를 변경하는 명령어를 사용한다.
# unit s (용량 단위를 섹터로 표시)
# unit KB or MB (용량단위를 섹터 또는 KB,MB로 표시)




파티션 정렬 확인

# align-check optimal 1 (1번 파티션)
# align-check optimal 2 (2번 파티션)



파티션의 정렬이 정상적으로 구성된 경우는 위와 같이 표시되며 비정상적으로 구성된 경우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파티션 포맷

#mkfs.ext4 /dev/sda1
#mkfs.ext4 /dev/sda2


파티션 마운트

# mount -t ext4 /dev/sda1 /data1
# mount -t ext4 /dev/sda2 /data2





GPT Partition으로 LVM 구성










GPT Partition 기타 예제



반응형
728x90
반응형
두개의 ide disk를 하나의 striped mapping LV로 묶기


- 80GB 짜리(실제는 약 76.1GB) IDE 하드디스크 두 개를 striped mapping LV 로 묶는 과정이다.
먼저 블록 디바이스 이름이 /dev/hde, /dev/hdf 인 디스크들을 PV로 만든다.


1) PV 생성

# pvcreate /dev/hde /dev/hdf


2) VG 생성

# vgcreate vg00 /dev/hde /dev/hdf 

그렇게 만든 PV들을 합쳐서 VG를 만든다.


3) LV 생성

# lvcreate -i 2 -I 4 -L 152g -n striped_lv vg00

- 152GB 짜리 striped mapping LV가 만들어진 것

- 옵션 내용
-i 2’는 두 개의 PV를 striped 하는데 쓰고
‘-I 4’는 PE를 4KB로 쪼개서 PV들 에게 저장한다는 것
(‘-I’ 옵션에는 2^n (0 <= n <= 7), 즉 1, 2, 4, 8, 16, 32, 64, 128 의 숫자를 쓸 수 있다.)


4) 파일 시스템 생성 후 마운트

# mkreiserfs /dev/vg00/striped_lv

# mount /dev/vg00/striped_lv /mnt

일반 linear mapping LV보다 약 1.5배에서 1.8배까지 속도의 차이가 있었다.

(Access가 많아지면 어떻게 되는지는 미확인)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Parted를 통한 Standard Partition 확장  (0) 2018.08.08
Linux Parted 구성  (0) 2018.08.08
Linux LVM 설정의 백업과 복구  (0) 2018.08.08
Linux LVM 새로운 Disk로 PV 교체  (0) 2018.08.08
Linux LVM VG 확장 및 축소  (0) 2018.08.08

+ Recent posts